본문으로 바로가기

신협의 역사

신협의 역사

신협은 믿음과 나눔의 정신에서 출발하였습니다.

우리나라에서 신협 운동을 처음 시작한 사람은
메리 가브리엘라(1900~1993)수녀와 장대익(1923~2008)신부 입니다.

신협운동은 200여년 전 독일에서 사회, 경제적으로 소외당하는 이들에게 희망을 나눠주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.
우리나라에서 신협운동을 시작한 사람은 메리 가브리엘라 수녀(1900~1993)와 장대익(루도비코)신부(1923~2008)입니다.
메리 가브리엘라 수녀는 1960년 5월 1일 부산에서 메리놀병원과 가톨릭구제회 직원 27명을 조합원으로 성가신협을 창립했으며, 이는 우리나라 신협의 시초가 되었습니다.
또한, 같은 해 6월 장대익(루도비코)신부가 서울에 가톨릭중앙신협을 설립하여 한국신협의 확산에 불은 지폈습니다.

행복한 미래
어부바 하겠습니다.

2014~현재

2010년대 중반 이후 신협은 정체성 회복과 신협정신의 강화라는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발전을 거듭해 나갔다. 또한 2014년 11월에는 사회공헌활동을 더욱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전개하기 위해 국내 최초 기부협동조합인 ‘신협사회공헌재단’을 출범시켜 기부·나눔·봉사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해 나갔다. 특히 2018년 하반기부터 ‘평생 어부바’라는 슬로건과 함께 ‘7대 포용금융 프로젝트’를 추진하며 정부와 지역, 시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. 2020년에는 신개념 모바일 통합플랫폼 ‘온(ON)뱅크’를 출시한 것을 시작으로, 기존 시·군·구에 제한되었던 여신 영업구역을 10대 권역으로 확대하는 등 더 큰 경쟁력을 확보했다.

2006~2013

신협은 2006년 대전 시대를 열며 제2의 도약을 알렸다. 2010년 1월 총자산 40조 원을 돌파한 신협은 9월 아시아신협연합회(ACCU) 워크숍 및 ACCU 포럼 개최와 함께 비전선포식 등을 개최하며 창립 50주년을 기념했다. 신협은 ‘협동조합의 참다운 모델, 상호금융의 진정한 리더’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가치추구·감동지향·건전경영·상생발전 등 4대 핵심가치를 선정해 추진해 나갔다.

1997~2005

신협은 1998년 1월 신협법 개정에 따라 조합-중앙회의 2원화 체제로 전환하며 체제를 정비했다. 1999년 12월 이뤄진 신협법 4차 개정은 책임경영체제를 강화하는 전환점이 되었으며, 2003년 7월 이뤄진 신협법 5차 개정은 중앙회가 자체적인 예금자보호제도를 운영하고 비조합원 대출이 가능해지는 등 건전성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.

1991~1997

1990년대는 신협 역사상 유일하게 조합-연합회-중앙회로 이어지는 3단계 조직체계가 운영된 시기였다. 이에 따라 신협은 계통기구의 역할 분담과 업무 효율화, 사업영역 확대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전개해 나갔다. 그 결과 1990년대 초 한국신협운동 역사상 신규조합 설립이 가장 활발히 이뤄졌다.

1982~1990

신협은 1980년대에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룩해 1983년 조합원 100만 명 돌파에 이어 1986년에는 총자산 1조 원 돌파라는 쾌거를 이뤘다. 아울러 1983년에는 세계신협인대회를 서울에서 유치하며 한국신협을 국제적으로 각인시키고 국내에도 신협운동의 참모습을 인식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.

1972~1981

1972년 한국신협운동사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점이 된 신협법이 제정된다. 신협법 제정은 이전까지 순수 민간자율의 협동조합운동이었던 신협이 법의 보호를 받은 제도 금융의 뿌리를 내렸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를 갖는다. 법 제정에 따라 조합들은 법인설립 인가를 받고 확실한 기반 위에서 건전 경영과 신협 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.

1960~1971

1960년 서민들의 오랜 빈곤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신용협동조합운동이 태동한다. 메리 가브리엘라 수녀가 주도해 출범한 부산 성가신용조합과 장대익 신부가 주도한 서울의 가톨릭중앙신용조합은 한국신협운동의 뿌리로, 60년 신협운동의 첫 발을 내디뎠다.